금융 혁신을 내세운 정부의 규제 완화 방침에 따라 금융산업 디지털 전환 움직임이 가속화
금융 혁신을 내세운 정부의 규제 완화 방침에 따라 금융산업 디지털 전환 움직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. '위기 속 기회'가 될 수 있는 디지털금융 환경 변화에 BNK와 JB 등 지방금융지주가 얼마나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지 여부가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.
한국신용평가는 최근 BNKㆍJB 금융그룹 분석보고서를 통해 디지털금융 환경 변화에 대한 지방금융지주의 대응전략이 주요점검 요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.
김경근 한신평 연구원은 "디지털금융 가속화 환경은 위기이자 기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"며 "거점 지역 소비자의 선택권이 확대돼 거점지역 영업기반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"고 설명했다.
반면 BNK와 JB 등 지방금융지주가 디지털 채널을 활용해 지방금융그룹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점은 기회요인이라고 전했다.
김 연구원은 "특히 수도권에 비해 고령층이 많은 지방은행금융그룹은 거점 지역 특성상 고령화가 빨리 진행될수록 신용수요가 빠르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 고객 기반을 다양화할 수 있는 디지털금융 대응 전략의 중요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"고 말했다.
김 연구원은 5대 금융지주가 독자적인 플랫폼 개발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지방금융지주는 빅테크ㆍ핀테크와 제휴를 통해 디지털 금융 변화에 대응하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.
김 연구원은 "BNK금융그룹은 빅테크∙핀테크와의 제휴를 확대하는 동시에 마이데이터 사업 시행에 대비해 데이터 전문기업과도 제휴를 체결하며 디지털금융 환경에 대응하고 있다"며 "이런 디지털금융 대응전략은 자체 플랫폼 강화보다는 다양한 디지털금융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유효고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지털 채널 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"고 설명했다.
또 "JB금융그룹은 빅테크 플랫폼 주도의 디지털금융 환경에서 자체 플랫폼 구축보다는 빅테크 및
핀테크사와의 파트너쉽을 강화하여 디지털 채널을 확장시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"며 "그 일환
으로 네이버파이낸셜, 토스,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유효고객 유입 추진 사례가 있다"고 설명했다.
이어 "JB금융은 지방은행 금융그룹 중 최초로 전북은행과 광주은행 모두 마이데이터 본허가를 받고 새로운 디지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"고 전했다.
JB와 BNK 등 지방금융지주의 이같은 행보는 KB, 신한, 하나, 우리, 농협 등 5대 은행금융그룹이 어플리케이션에 배달서비스와 같이 생활편의 서비스를 탑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독자적인 플랫폼을 강화하는 것과 상반된다는 설명이다. 김 연구원은 "자본력 차이가 차별화된 대응 전략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"고 설명했다.